도자기 금장에 관하여 오늘은 여자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금장 도금 그릇을 고르기 위한 금의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금의 단위는 kt입니다. 우린 보통 24k, 18k, 14k 이런식으로 쓰나 사실은 Karat의 약자인 kt를 써야 정상입니다. 보석의 질량단어인 Carat과 같은 말입니다. 금은 질량이 아닌 순.. 그릇사랑 2016.05.03
독일 후첸로이터 그릇 독일 후첸로이터사는 1774년도에 태어난 칼 마구누스 후첸로이터에 의해 탄생되었다. 가업을 이어 도자기 기술을 익힌 그는 자신이 만든 장식자기들을 귀족들에게 팔면서 여행을 다니게 된다. 그러다 보헤미안 귀족들의 거주지였던 호헨베르크 지역을 여행하게 되었고 여행에서 돌아온 .. 그릇사랑 2016.05.03
도자기 그릇에 관한 고찰 그릇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유약을 바르지 않는 연질 자기와 유약을 발라 고온의 불에 구워내는 경질 자기로 구분이 되지요 쉽게 말하면 빗살무늬 토기처럼 흙으로만 빚어진 그릇이 무르니까 연질이고, 흙으로 모양을 빚은 후 800도시 정도에서 초벌구이를 한 후 문양 등을 넣고 유약을 .. 그릇사랑 2016.02.05
경덕진 찻잔 중국의 경덕진(景德鎭)도자기 유래 경덕진 도자기는중국 한(漢)나라 때부터 도자기를 만들어 2천여년의 역사를 지녔어요 경덕진 도자기는 빛깔이 옥과 같고, 두께가 종이장같이 얇아서 햇볕에 비추면 바깥부분의 문양이 그대로 비쳐지고 밝기가 거울 같고, 소리가 강쇠 같다는 독특함을 .. 그릇사랑 2016.01.25
진사(辰砂)에 빠지다.| 진사 도자기는 제작과정이 여간 어려운게 아니라고 한다. ​가마 불의 분위기에 따라서 요변(窯變)이 심하기 때문이다. ​우연성은 진사의 특성 중 하나다. ​도자기를 구울 때 가마 속의 변화로 도자기의 색깔이나 모양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다. ​진사는 그래서 도.. 그릇사랑 2016.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