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사랑

도자기 금장에 관하여

ds3ckb 2016. 5. 3. 05:43

오늘은 여자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금장 도금 그릇을 고르기 위한 금의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금의 단위는 kt입니다.
우린 보통 24k, 18k, 14k 이런식으로 쓰나 사실은 Karat의 약자인 kt를 써야 정상입니다.
보석의 질량단어인 Carat과 같은 말입니다.
금은 질량이 아닌 순도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보석은 ct를 뒤에 붙이고 금은 kt를 뒤에 붙여야 하지만,
세계적으로 그냥 약자로 k를 씁니다.

다음은 순도입니다.
12k, 14k, 18k, 24k등으로 순도를 나타냅니다.

1. 순금은 24k 입니다. 하지만 이 표시보다는 99.99%로 통용됩니다. 언제가부터 이 금이 젤 좋은걸 보면 늙었다는 얘기겠죠?^^

2. 22K(금 함량 91.66%)는 고품질로 보통 결혼반지로 사용합니다.

3. 20K(금 함량이 88.33%)는 칠보금속이나 장신구에 사용됩니다.

4. 18K(금 함량 75%)는 금 합금 중 가장 보편적이고, 고급품위인 합금으로, 색상과 경도 및 강도 모두 가장 우수합니다.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고, 화학적 기계적 성질 모두 우수하여 반지, 브로치 등 금 장식에 대개 사용합니다.
18K에는 18K옐로우와 핑크, 그리고 화이트가 있어 색상별로 용도에 따라 사용합니다.

5. 14K(금 함량 66.4%)는 금과 구리와의 합금 비율이 대개 3 : 1입니다. 300℃ 내외에서 열처리에 의해 경화된 금에 니켈 1% 미만을 합금하면 더욱 좋은 성질을 얻게 되는데, 특히 18K 보다는 탄성율이 우수해서 보석 장식품과 시계, 만년필의 펜촉 재료로 씁니다.

6. 12K 이것은 50%의 금 함유량을 나타내며 12K 이하의 금은 구리 색을 나타내는데, K10, K9, K8 등의 것은 일반적으로 금의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7. 마지막으로 금도금 입니다. 앤틱에서 주로 활용되는 금활용방식이기도 하며 우리가 자주 속기도 하는 분야입니다.
주로 18KGP, 18KGF, 24kt filled, 24kt plated 등이 주로 쓰입니다.
24kt는 금의 순도이며 그다음에 plated가 나옵니다. 24k 순도의 금도금을 했다는 뜻입니다.

KGP의 K는 물론 금을 표시하고 G는 골드, 그리고 P는 plated를 표시합니다.
전기도금을 했다는 뜻입니다.
KGF도 위와 마찬가지고 마지막은 filled이다. 압연방식을 이용해서 도금을 한 경우입니다.

실제로 도자기에 이렇게 도금을 하긴 했지만 그렇게 많은 금이 소요된 것은 아닙니다.
금의 인장력이 엄청나게 뛰어나기 때문에 작은 양에도 아주 많은 양의 앤틱도금을 할 수 있는 여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레녹스의 웨췌스터처럼 도금두께가 두껍다면 더 가치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얼마나 도금을 두껍게 하느냐에 따라 앤틱의 가치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도금 두께는 표시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눈으로 감별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쨌든 24kt로 도금하는 것이 18kt로 도금하는 것보다 훨씬 가치있고 우월하다고 해야겠습니다^^

'그릇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후첸로이터 그릇  (0) 2016.05.03
도자기 그릇에 관한 고찰  (0) 2016.02.05
스타우브 티팟& 코코댁 냄비  (0) 2016.01.25
경덕진 찻잔  (0) 2016.01.25
로모노소프 코발트 넷 케잌스탠드&서버  (0) 20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