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삶

[스크랩] “아이크림, 정말 필요한가?”아이크림 성분에 관한 진실과 거짓

ds3ckb 2010. 5. 26. 14:17

 뉴시스와이어】
“아이크림, 정말 필요한가?”아이크림 성분에 관한 진실과 거짓
아이크림 제품의 성분은 하나의 보습성분일 뿐

아이크림의 구성성분은 일반 모이스처라이저와 동일
오히려 자외선 차단제 들어있지 않아 낮 시간 사용시 피부에 치명적
화장품으로 눈가 주름 제거 사실상 불가
아이크림은 화장품업계의 대표적인 마케팅 상술일 뿐

세계적 화장품 비평가 폴라비가운(Paula Begoun) 이 밝히는 아이크림의 진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아이크림이 눈가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제품이라고 믿는다.
눈가는 알레르기 등 자극 반응이 잘 나타나며 다른 부위보다 건조하고 이로 인해 주름이 빨리 생기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화장품으로 눈가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한, 아이크림의 성분 구성은 다른 기초 제품의 성분과 다를 것이 전혀 없으며 다른 특별한 제조공법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나 자료, 연구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굳이 눈가를 위해 특별히 바르지 않아도 되는 제품이라는 것이다.

아이크림이 일반 모이스처라이저보다 특별하거나 훨씬 품질이 뛰어나다는 증거도 없다.
얼굴에는 별로지만 눈가에 좋은 성분, 혹은 눈가에는 별로지만 얼굴에는 좋은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말해 준 피부과 전문의나 화장품 연구원 또한 지금까지 단 한 명도 없었다.

성분 라벨을 훑어보아도 둘 사이에는 아무 차이가 없으며 그저 일반 모이스처라이저에 비해 눈 전용 모이스처라이저는 가격이 더 비싸고 양이 적다는 것뿐이다. 하나만 사도 될 것을 두 개 사도록 만드는 것이다.

눈 가에만 다른 제품을 발라야 하는 경우는 눈가 피부가 정말로 다른 얼굴 부위와 타입이 다를 때 일 뿐이다. 예를 들어 피부가 중/지성이라서 가끔 볼과 눈가에만 모이스처라이저를 발라도 되는 사람에게는 성분 구성이 좋은 유분 베이스의 모이스처라이저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아이크림이라고 불리는 많은 제품들의 심각한 결점은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아이크림을 (자외선차단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낮에 사용한다면 피부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여 성들은 아이크림을 바르면서 눈가 피부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햇빛으로 인한 손상과 잔주름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아이크림은 화장품 업계가 퍼뜨리는 잘못된 정보로 소비자들이 쓸데없이 돈을 낭비하고 피부를 다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세계적인 뷰티 비평가 폴라비가운 여사가 월드투어 강연 중 발췌한 내용 중 일부이다.

" 아이크림은 필요 없습니다.앞으로 여러분이 아이크림에 쓸 돈은 이제부터는 은행에 저금하세요.
그리고 정말로 페이스리프트나 눈 주름제거가 필요할 때 은행에는 이자 붙은 돈이 있을 겁니다

화장품회사들이 파는 아이크림이란 얼굴에 바르는 것과 차이가 없는 것을 두 배나 비싸게 받으면서 양은 반밖에 주지 않는 것입니다.
제가 30년 동안이나 이 일을 하면서 아직도 눈 주변에 얼굴과 다른 게 필요하다고 하는 피부과의사, 화학자, 이론가를 만나거나 연구논문을 읽은 적이 없습니다.

가끔씩 누군가 눈 주변은 민감하니까 자극적인 성분을 쓰지 말라고 합니다.
먼저 뭐 하러 자극적인 성분을 얼굴에 바르겠습니까?
말도 안되죠 자극적인 건 어디에도 바르고 싶지 않고 바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얼굴에 바르는 크림과 어떻게라도 다르게 작용하는 아이크림을 본적이 없습니다.
제가 눈치 챈 차이점이 있다면 오히려 자극적인 성분을 아이크림에 넣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빼버린 경우입니다..

그런 게 눈 주변에 좋을 리가 없죠."

폴라비가운 여사의 의견을 정리해보면, 굳 이 고가의 아이크림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아이크림이 눈가를 위해 특별한 성분이 배합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굳이 따로 아이크림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성분구성이 훌륭한 모이스처라이저면 눈가를 포함한 얼굴 전체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두자.




 

원문: http://news.nate.com/view/20090604n08582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