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사진

월정사의 천년숲길,한국자생식물원.

ds3ckb 2009. 7. 2. 22:09

아름다운 전나무 숲길이 있는 오대산 월정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의본사인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자락에 위치하고 신라643년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주요 문화재로는 석가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한 8각 9층석탑과

상원사 중창권선문이 있다.

 

월정사의 대웅전

 

 

 

        월정사의 윤장대

윤장대는 불교경전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든 일종의 장경각으로

윤장대를 돌리면 경전을 읽지 않아도 공덕을 쌓을 수 있으며,자신의 희망과

        소원을 담은 발원문을 넣고 돌리면 발원이 성취되는 불교 성물입니다.  

 

                                               

 이 전나무는 월정사 전나무숲길에 자생하는 전나무중에서

2006년 10월 쓰러진 전나무숲의 최고령 전나무라고 하네요.

나무 속이 뻥 뚫려있어서 그 세월의 무게를 짐작으로만 느낀답니다.

 

 

 

 오래된 고사목이 마치 노부부인양 나란히 서 잇는 모습이 다정도 합니다.

 

 

 월정사 입구에 이어진 천년숲 "전나무 오리숲길"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오대산 월정사 입구에는

500년 이상된 아름드리 전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천년 숲길이 있어요.

이곳은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길로 꼽히는 곳인 만큼 푸르름이 한창인 요즘

산책로로 최고의 각광을 받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짙어가는 오대산의 초록을

포장길의 편안함을 버리고 맨발로 흙길을 걸으면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천년의 숲길은 “조용해서 생각하기 좋은 숲으로 좋은 사람들과 함께 걷고 싶은 곳”입니다.

 

 

 

 

한국 자생 식물원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병내리위치한

우리 고유의 꽃과 나무로만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자생식물원이다.

식물원은 조경 소재관·분경 분재관·주제원·생태식물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밖에 원내에서 유일하게 사진촬영을 할 수 있는 야생화군락지가 있다. 입장료는 어른이 5,000원이고 토종꽃씨를 나누어 준다.

 

 

 

 

식물원에 들어서면 대형 온실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우리꽃을 분양할수도 있고 다양한 화분,집기등을 구입할수 잇다.

 

원내에는 전시판매장이 마련되어 있어 우리꽃, 화분, 용토, 기념품, 자생식물 관련 서적 등

다양한 소재를 구입할 수 있다.  캐릭터 화분이 넘 귀여워 찍어보았다.

 

 

의림지에도 자생하는 순채나물입니다. 식재료로 사용하여 유명해진 식물이죠.

 

 광대한 넓이의 식물원을 다 돌아보자면 산책하는 걸음걸이로도 족히 한시간 이상이 걸린다.

우린 야생화를 앵글에 담느라 그 시간은 훨씬 더 걸렸다.뜨거운 태양아래 날씨는 덥고,다리도 아프고

곳곳에 시원한 그늘이 오아시스처럼 반갑기만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전나무숲길에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향기로운 전나무숲에서 웬 쌩쑈? 전위예술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자생식물원에서.오랫동안 더위와 여행피로에 지쳐 주저앉고만 싶어진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나의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곧 미남이 되실 분  (0) 2009.07.10
영월일대를 휘익 돌다.  (0) 2009.07.08
청풍호반을 따라서...  (0) 2009.06.24
울산 문무대왕능,포항 호미곶  (0) 2009.06.13
울산 장생포 고래박물관,태화강 십리대숲  (0) 200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