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릉
봉길 해수욕장에서 200m 떨어진 바다 가운데 작은 바위섬이 있다.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대왕암은 자연 바위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은 동서남북으로 인공수로를 만들었다.
바닷물은 동쪽에서 들어와 서쪽으로 나가게 만들어 항상 잔잔하게 하였다.
수면 아래에는 길이 4m, 폭 2 m 가량의 넓적한 거북모양의 돌이 덮혀 있는데
이 안에 문무왕의 유골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지만 확인된 바는 없다고 한다.
문무대왕은"나의 유해를 불교식으로 화장해 동해에 장사 지내라. 그리고 나를 위해 큰 무덤을 만들지 말라,
옛날 천하를 다스리던 위력 있는 임금일지라도 끝내는 한 줌의 흙더미로 변하는 바,
죽은 사람의 일에 많은 경비를 들이는 일은 재물만 낭비하는 일이요,
백성들의 수고만 헛되게 하는 일일뿐, 영혼을 오래도록 고요히 평안하게 하는 일은 못될 것이며,
또한 내가 즐거워하는 일이 아니다. 내가 숨을 거둔 열흘 뒤에는 화장하고 장례는 간소하게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이곳에 와서 백성을 지독히 사랑했던 문무대왕의 위대한 생애를 다시 생각해본다.
봉길 해수욕장에서 200m 떨어진 바다 가운데 작은 바위섬.
이곳이 삼국통일을 완성한 대군주의 문무왕릉이다.
지금은 바위전체가 바다갈매기들의 배설물로 쌓여 왕릉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옅은 안개가 낀 보랏빛이 감도는 하늘에 부드러운 연녹색 바다,작은 점처럼 보이는 배들,끝없이 해변으로 밀려와 부서지는 파도는 마치 신부의 면사포끝에 수놓인 흰색 레이스와도 같이 아름답다.
울산 앞바다에 있는 봉길 해수욕장은 흐린 날씨에다 바람까지 거세게 불어서인지
휴일임에도 찾는이가 많지 않은 한적한 해변이었다. 문무 대왕암이 있다는 표지 하나만으로 이곳에 수중 왕릉이 있음을 묵묵히 알려주고 있다.
포항 호미곶
동외곶또는·장기곶이라고도 한다. 원래 생김새가 말갈기와 같다 하여 장기곶으로 불렸다.
1918년 일본식 표현인 장기갑으로 불리다가 1995년 장기곶으로 변경하였다가 우리나라 지도에서 호랑이꼬리를 닮았다고해서 2001년 12월 지금의 이름인 호미곶으로 명명하였다.
호미곶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우릴 반겨주는 전국최대크기의 가마솥.
새해 첫날 해맞이행사때 관광객들에게 떡국을 끓여주는 실제로 사용하는 가마솥입니다
이 가마솥은 2004년 1월1일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이곳 에서 개최된 '한민족 해맞이 축전'행사에 참여한 관광객들이 새해 아침에 직접 떡국을 끓여먹는 체험행사용으로 특수 제작된 우리나리에서 제일 큰 솥이다. 지름이 3.3m이고 깊이가 1.3m,둘레10.3m의 가마솥으로 떡국20,000명분(4t)을 한꺼번에 끓일 수 있다고 한다.
아래사진은 사람이 사물을 볼때 시각적인 위치에 따라 재미있는 사진이 나온답니다.
대형 솥뚜껑을 한손으로 들어올리는????
호미곶의 손.
바닷속에서 막 올라와 무언가를 전달하고픈 간절한 염원이 담긴 손.이 손은 과연 우리에게 무슨 멧세지를 전하고 싶은 것일까? 육지에선 왼손, 바다에선 오른손인 상생의 손은 새천년을 맞아 모든 국민이 서로를 도우며 살자는 뜻에서 만든 조형물인 상생의 손은 두 손이 상생(상극의 반대)을 의미합니다.
바다속에서 내밀고 있는 손이 '상생의 손'이라고는 하지만 내가 보기엔 물에 빠진 사람이 '살려주세요'고 외치는것 같아 보이기도 한다.
'새천년에는 두 손을 잡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지난 20세기의 천년이 전쟁과 갈등의 시대라면 21세기 새천년은 온 인류가 서로 화합하고 화해하는 `상생의 두 손' 의 시대임을 형상화 한 오른손(높이 8.5m)과 왼손(높이 5.5m)이 서로 마주 보며 설치돼 있다
조선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南師古)가 《동해산수비록(東海山水秘錄)》에서
한반도는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모양으로 백두산은 코, 이곳을 꼬리에 해당한다고 묘사하였다.그래서인지 호랑이형상의 가로등과 벽화가 있다.
새천년 영원의 불
땅에 있는 상생의손 앞에는 365일 꺼지지 않는 '새천년 영원의 불'이 있다.
새천년을 기념해 1999년 12월 31일에 채화된 '변산반도 일몰 불씨'와 2000년 1월1일 채화한 '독도에서 채화한 즈믄 불씨와 남태평양 피지섬에서 갖고온 일출 불씨', '호미곶 일출 불씨' 등이 '영원의 불 보관함'에 안치돼 있다.'새천년 영원의 불'은 한민족의 화합과 국가번영을 기원하고, 동서화합과 국민통합을 상징하는 불로서 국내의 각종 대회 때 성화 불씨로 사용되고 있다.불씨 채화 1호는 2000년 10월 부산시에서 열린 제 81회 전국체전 성화 채화에 이어 같은 해 경북도민 체전불, 2002년 9월 부산 아시안 게임 성화 채화불,
2003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에 사용한 이탈리아 토리노 불과 성균관불 합화 채화 등 모두 4차례에 달한다.여기에 소요되는 가스는 연간 4t이 소요되며 가격은 400만원에 달하는데, '새천년 영원의 불' 보관함 바로 옆에는 지하에 가스를 공급하는 3t 저장능력을 갖춘
가스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어 연중 꺼지지 않게 하고 있다.
호미곶등대
경상북도 기념물 제35호 포항시 남구 대보면 대보리 221-2에 소재.
대한제국 유희 원년(1907년)에 일본선박이 암초에 부딪쳐 침몰한 계기로 지어졌다.
프랑스인이 설계하고 중국인 기술자가 시공을 맡아 1908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높이 26.4M의 팔각형으로 서구식 건축양식을 보여준다.
기초에서부터 등탑의 중간부분까지 곡선을 그리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이며
벽돌로 쌓은 것이 특징이다.등대 내부에는 6층으로 각 층의 천장에는 대한제국의 왕실상징인 배꽃모양의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이 등대는 일반인에게는 공개를 하지않아 내부구경은 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았다.
호미곶 휴게소에는 각종 기념품과 민속공예품을 전시,판매한다.
호미곶 상생의 손 바로 앞에 위치한 식당 '호미곶회타운'에서 회덥밥으로 ...아~~~해보세여.
後記..
좋은 여행이었어요. 여러번 다시 가보는 여행지라도 매번 갈때마다 새로운 느낌을 받곤 하지만 수십년만에 가본 부산과 울산 포항은 마치 처음 와보는듯한 신선함과 생동감을 가득 안고 돌아올 수 있었지요. 마지막으로 잊지못할 해운대에서의 해프닝을 올려볼까요? 부산 용두산공원에서 만난 제천 청암학교 여교사 두분과 일행이 되어 해운대에 도착하였을때는 누리마을 앞의 공영주차장에는 이미 만차가 되어 주차할곳을 찾아 이리저리 헤메이던중에 조선호텔앞 도로에 주욱 늘어선 주차행렬 가운데에 방금 자리가 빈곳을 발견하고 내 얼굴엔 희색이 만면..미심쩍어하는 옆지기를 재촉하여 얼른 금쪽같은 공간에 주차를 하고나니 이거이 웬 횡재냐고 마음마저 뿌듯~~ 주차도 안전하게 해 놓았겠다 ..처언천히 산책하는 걸음걸이로 여유롭게 해운대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긴 백사장에 밀려오는 파도와 오랜 눈싸움도 실컷 하고 나서야 주차한곳으로 터언. 근데???? 앗뿔싸!!!! 내차는 온데간데 없고 딸랑 견인주차용지만 바닥에 펄럭이고 있네... 머너먼 이곳 부산에 와서 내차가 코가 꿰어서 끌려가는 모습을 상상만해도 으~~윽. 견인장소까지 택시를 타고 잃어버린 자식을 찾아오는듯한 사상초유의 낯선경험(?)은 이번 여행의 옥의 티...견인료와 과태료포함해서 7마넌을 뺏기는것은 감수한다 치더라도 씁쓸한 뒷맛이란... 비싼 수업료를 지불하고 나서야 불법주차는 하지말아야 한다는 동서고금 불변진리를 깨달았답니다.ㅎㅎ 용두산공원에서 제천지기들을 만난 지독한 우연과 함께 이번 부산여행의 잊을 수 없는 추억거리 입니다.
|
'나의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정사의 천년숲길,한국자생식물원. (0) | 2009.07.02 |
---|---|
청풍호반을 따라서... (0) | 2009.06.24 |
울산 장생포 고래박물관,태화강 십리대숲 (0) | 2009.06.11 |
부산 광안대교야경,울산 간절곶 (0) | 2009.06.11 |
부산 자갈치시장,해운대 누리마루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