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 천태종 제천 삼천사

불교의 기초

ds3ckb 2017. 2. 12. 20:11

#tip 1.

?불교(佛敎)상식 입문?

 

1. 전통사찰의 참배순서

 

산문 (입구) 일주문 금강문 천황문 해탈문 불이문 탑 대웅보전 각전 (극락보전,약사전 미륵전 천불전 응진전)등의 순서로 참배한다.

 

2. 삼보(三寶)란? : 부처님, 부처님의 가르침, 스님

(1) 불보 : 부처님의 진신사리

(2) 법보 : 부처님설법 (경,율, 논) 3장을 말함.

(3) 승보 : 스님들. #승가 구성은 비구,비구니,우바세, 우바이.

 

3. 삼보 사찰

(1)불보사찰 :양산 통도사(부처님 진신사리 모셔짐)

(2)법보사찰 :합천 해인사(부처님 말씀 팔만대장경)

(3)승보사찰 :순천 송광사 (*16국사를 배출한 승가)

 

4. 대한불교조계종 5대 적멸보궁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는 곳을 말한다.

(1) 경남 양산 영축산 통도사

(2) 강원 정선 태백산 정암사

(3) 강월 영월 사자산 법흥사

(4) 강원 평창 오대산 상원사

(5) 강원 인제 설악산 봉정암

 

5. 대한불교조계종 5대 총림

#총림이란 선원 율원 강원을 모두 갖춘 종합대학.

(1) 경남 양산 통도사 영축총림

(2) 경남 합천 해인사 해인총림

(3) 전남 순천 송광사 조계총림

(4) 충남 예산 수덕사 덕숭총림

(5) 전남 장성 백양사 고불총림

 

6. 육법공양

향(해탈향) 초(반야등)

꽃(만행화) 쌀(선열미)

차(감로다) 과일(보리과)

 

7. 육바라밀

보시, 지계 , 인욕 , 정진, 선정 , 지혜

 

8. 사성제란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9. 팔정도 (八正道)

(부처님께서 다섯비구니에게 최초로 설법한 내용이 사성제 팔정도다.)

(1) 정견 (바른견해)

(2) 정사 ( 바른 생각)

(3) 정어 (바른 말)

(4) 정업 (바른 행동)

(5) 정명 (바른 생활)

(6) 정정진 (바른 노력)

(7) 정념 (바른 관찰)

(8) 정정 (바른 선정)

 

10. 불교의 사성지

(1) 부처님 탄생지 카필라성 (룸비니)

(2) 부처님 성도지 부다가야 (마갈타)

(3) 최초의 설법지 바라나시 (녹야원)

(4) 부처님 열반지 (쿠시나가라)

 

11. 삼독 삼업 십선

(1) 삼독은 탐. 진. 치.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지혜의 빛을 갖추는 것이다.

(2) 삼업은 신(몸) 구(입) 의(뜻)로서 불교의 수행 행법이다.

(3) 십선은 삼업을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옳은 행동을 하는 것으로서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 불기어, 불양설, 불각구, 불탐심, 불진심,불치심을 행하는 것이 십선이다.

 

12. 육도윤회

육도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 천상도이다

윤회란? 수레바퀴가 구르면 처음의 위치로 돌아오는 모양을 말하며 인간이 한 생을 살다가 죽으면 다시 태어날 세상이 여섯군데가 있다고 하므로 육도윤회란 말이 생겼다.

이제 우리는 윤회의 길을 벗어나고자 부단히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13. 불교의 사물이란? (범종 법고 목어 운판)

(1) 범종 : 범종은 지옥중생을 비롯하여 일체중생을 위하여 친다. 아침에는 28대 조사을 상징하여 기리며 28번의 범종을 치며, 저녁에는 천상28계와 5곳의 사바세계에 중생 있는 곳을 합해 33번의 범종을 쳐 중생을 깨우친다.

(2) 법고 : 부처님의 설법이 삼천대천세계에 울려 퍼지는

염원과 축생의 의식을 깨우치는 법구임.

(3) 목어 : 물고기모양으로 나무를 깎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부지런히 정진하라는 의미로 수중 중생의

의식을 깨우친다.

(4) 운판 : 청동으로 구름 모양을 본따 하늘의 날짐승들의 해탈을 위해서 친다.

 

14. 부처님의 생애를 오페라 (8장)에 비유한 8상성도

(1) 도솔천에서 오신 도솔래의상 (석탄재일 음4.8)

(2) 무우수 아래서 태어나신 비람강생상

(3) 고성제의 생,노,병,사를 보신 사문유관상

(4) 왕위를 버리고 떠나신 유성출가상.(출가재일 음 2.8)

(5) 마왕을 굴복시킨 수하항마상 (성도재일 음12.8)

(6) 뼈를 깎는 히말리아 설산수도상

(7) 최초 법을 설하신 녹원전법상

(8) 사라수 아래서 맞으신 쌍림열반상.(열반재일 음 2.15)

 

15. 불교의 4대 명절이란?

 

(1)석탄재일 (2)출가재일 (3)성도재일 (4)열반재일

여기에 목련존자와 관계있는 (5)백중재일(우란분절 음7.15)을 합하여 불교의 5대 명절이라 한다.

 

 

#법정스님의 가르침중에서...

 

"불교를 배움은 자신에 대한 배움이다.

자기배움은 자신을 비우는 것이다."

 

#지광스님마음의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