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大覺國師 義天
의천(義天)
1055(문종 9)∼1101(숙종 6). 고려의 천태종(天台宗)을 창종한 고승.
성은 왕씨(王氏). 이름은 후(煦), 호는 우세(祐世), 시호는 대각국사(大覺國師). 송악출신.
아버지는 고려 제11대 왕인 문종이며, 어머니는 인예왕후 이씨(仁睿王后李氏)이다.
왕자로 태어나 승려가 된 의천은 고려의 불교가 교종과 선종으로 갈라져
대립하던 당시에 교선일치(敎禪一致)를 역설하였다.
고려의 교종을 통일한 후에 선종의 교리에 입각,
천태종을 개창하여 선종의 종파를 통합하였다.
원효의 중심사상인 ‘일불승(一佛乘)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원리에 입각하여
고려 불교의 융합을 실현, 한국 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왕사(王師)이자 아버지 문종의 외삼촌이 난원(爛圓) 밑에서 승려가 되어 구족계를 받고,
오관산 영통사에서 화엄(華嚴)의 교관(敎觀)을 배웠다.
1065년 나이 13살 때에 의천은 ‘우세승통’으로 임명 되었다.
‘우세’란 승려의 별호이고 ‘승통’이란 승려에게 주는 최고관직이다.
1077년 처음으로 〈화엄경〉과 그에 대한 연구서를 강의했다.
의천은 불교전적을 수집하고 화엄학과 천태학의 교리상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중국 송나라에 유학할 것을 결심했다.
1084년(선종 1) 1월 유학을 허락해 달라고 국왕에게 요청했으나 거절당하자,
이듬해 5월에 왕과 태후에게 편지를 남기고 몰래 제자 수개(壽介)를 데리고
중국으로 건너갔다.
의천은 1년 4개월 동안을 송나라에서 보내면서 50여명의 모든 종파의 고승들을 만나
불교에 대하여 토론했다.
의천의 이러한 활발한 교류와 불교전적 수집에 대하여, 당시 관직에 있던 소식은
몇 차례나 상소문을 올려 비판했지만, 송나라 조정은 오히려 의천을 환대했다.
고려에서는 《초조대장경》을 완성한 뒤에 의천을 중심으로 각국 고승들의 저술들을 모아
《속장경》을 편찬, 고려 선종 8년(1091)부터 고려 숙종 연간에 걸쳐 간행했다.
방대한 불경의 초판을 몇 해 사이에 끝냈다는 것은 고려의 출판 사업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의천의 노력이었다.
이와 같이 역사적 전통으로 고종 년간(1236~1251년)에 지금 해인사에 소장된
《팔만대장경》 경판을 초판 할 수 있었던 것이다.
2.천태종 개창
의천은 판각본을 송나라와 요나라에 기증하여 3국간의 문화교류와 발전에 대해 공헌을 하였다.
중국을 두루 돌아다니시며 당시 유명했던 선지식과 법을 논하고
천태법화사상을 공부하시어 과거 천태지자대사의 큰 뜻을 함께 하고
천태대사께서 수행하셨던 천태산에 올라 고려에 천태의 종풍을 크게 일으킬 것을 발원하고
구법활동을 마치고 고려로 돌아온다.
귀국과 함께 의천은 중국의 송나라, 요나라, 그리고 일본 등으로부터
4700여 권의 서적을 수집하고 이것을 기초로 고려 속장경의 근간이 되는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집하게 된다.
국청사를 중심으로 천태산에서의 발원(發願)에 따라 고려 천태종을 처음 개창한다.
당시 고려불교는 교리에만 치중하는 교종(敎宗)과 교리를 무시하고
참선만을 고집하는 선종(禪宗)이 서로 대립하여 자신의 우월함만을 내세웠던 시기였다.
그러한 때에 의천은 고려 천태종을 개창했다.
이러한 고려 천태종의 개창은 서로 대립했던 교종과 선종을 하나로 통일함으로써 민심을 안정시키고
국민의 가치관을 올바로 세워 국가번영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 천태종은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숭유억불(崇儒抑佛)이라는 쇠퇴의 역사에 직면하게 된다.
세속의 부귀와 영화를 버리기란 쉽지 않고,
설사 그것을 버리고 출가한 이라도 진정으로 구도자의 길을 가기란 어렵다.
그런데 왕자로 태어나 출가하고 입적할 때까지,
오직 求法과 끊임없는 수행‧강학으로 일생을 살았던 대각국사 의천은 참다운 구도자였다.
[자료출처]
불교의 역사(이봉춘著)
대한불교 천태종 구인사 홈페이지
大覺國師 義天 硏究 (박용진著)
인터넷불교카페 아미타파
고려중기 불교 대각국사 의천(교관겸수,천태종,의천저서)
교실밖의 한국사(이근호著)
'금강불교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願 六向에 대해서 논하시오 (2학기 리포트) (0) | 2013.12.06 |
---|---|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와 공인(2학기 리포트) (0) | 2013.12.06 |
배불(背佛)의 조선시대가 주는 교훈(2학기 리포트) (0) | 2013.12.05 |
[스크랩] 천태불 금강합창단 찬불가 (0) | 2013.11.21 |
신묘장구대다라니경 노래 (0) | 201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