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정사/김동아
대한불교열반종의 총본산 와우정사는..... 연화산의 모습이 누운 소 모양이어서 와우정사라고 하는 설도 있지만 누워있는 불상을 모시고 있어서 와우정사라고 부른다는 설이 있다. 1970년 해곡 삼장법사가 부처의 공덕으로 민족 화합을 이루기 위해 세운 호국 사찰이다. 이 절은 세계 41개국의 불교 단체 및 종단과 활발히 교류하는데, 사찰내 회관에는 세계불교도총연맹 본부, 세계불교문화교류협회, 한국·스리랑카 불교문화 교류협회, 한국·미얀마 불교문화 교류협회 등의 단체가 있다. 사찰이지만 흔히 볼 수 있는 일주문, 천왕문, 해탈문도 없다. 누구에게나 문이 열려 있음을 뜻하는 것일까? 그 사연은 알 수가 없다. 입구에서 조금 올라가면 연못이 조성되어 있고 거대한 불두가 인자로이 내려다보고 있다. 불두의 높이만 무려 8m고 세계최대의 불상으로 기네스북에 올라가 있다. 불두는 장차 조성될 불상의 머리부분이고 뒤에 만들어질 몸체만 100미터라고 한다. 108m의 불상이 하늘 높이 올랐다고 상상해보라. 완성된 거대한 불상의 모습이 무척 궁금해진다. 불상 아래에 커다란 연못엔 비단잉어가 노닐고 있어 참배객들의 눈길을 머물게 한다. 연못의 물이 조금 탁해뵈기는 하지만 잉어들은 힘차게 물살을 헤치며 관광객들 앞으로 모여들었다가 흩어지기도 한다. 연못주변에 오밀조밀 자리잡고 있는 불상은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넓은 경내를 찬찬히 다 돌아보려면 족히 두시간 은 걸리는것 같다.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정원수 사이로 숨었다가 나타나는 많은 불상들의 모습은 우리눈에 익은 부처님의 모습과는 좀 색다르게 느껴진다. 그것은 아마도 세계의 불교, 특히 동남아 불교국가와의 많은교류의 영향이 아닐까... 혼자 짐작하여 본다. 경내에 울리는 불경소리도 우리나라의 반야심경이나 명상의 말씀이 아니라 태국의 불경이 경내에 울려퍼진다. 방문하는 동남아 불교신도의 모습도 상당수 눈에 띄는걸 보면 불교교류에 상당한 관심을 두고 있는듯 느껴졌다. 그런데 부처님이나 예수님은 오직 한분이실진대.. 왜이리 각 기독교, 불교 교단마다 셀 수 없이 수많은 종파로 나뉘었을까? 그것은 종교계의 풀리지 않는 화두인것 같다. 각 사찰마다 경쟁적으로 불상을 크게 조성하는것은 무슨 까닭인지? 불상의 크기와 불심의 깊이와는 정비례 하는것일까? 이런저런 생각이 잠시 스치는 하루였다. 자, 그럼 경내를 한번 돌아볼까요?
와우정사에 들어서면 정면에 엄청난 크기의 석가모니 입상과 마주칩니다. 연못에 비친 인간세상을 내려다보는듯 느껴집니다.니
황동 8만 근으로 10여 년간 만든 장육존상 오존불상의 위용
국내 최대의 청동미륵반가유상... 청동으로 조성된 6m의 명상하는 형태의 불상
열반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 통향나무를 다듬어 만든 길이 12m, 높이 3m의 와불상이 봉안되어 있어 와불전이라고도 한다. 이 열반상은 인도네시아 향나무로 조성한 세계 최대의 목불상으로 기네스북에 올라 있다. 법탁과 비교하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전국 사찰의 큰스님들과 신도들이 가지고온 돌로 쌓은 통일의 탑
현재 불사가 진행중인 오백나한상...표정과 몸짓이 모두 다르다.
통일의 탑 : 전세계 각국의 성지에서 가져온 각종의 돌로서 한층 한층 쌓아올린 통일의 탑 열반전에 이르는 계단 옆에는 세계 각지의 불교 성지에서 가져온 돌로 쌓은 통일의 돌탑이 장관을 이룬다
코끼리 상뒤로 보이는 불두의 모습.
기념품점에서...청아한 풍경소리가 들릴듯...
사진동호회원이 찍은 우리사진.
전국 사진 동호회 '알파로 간다'회원과 함께...
유명 사진작가님으로부터 내공전수의 기회...모두 열공중입니다.
드뎌 스튜디오 촬영기법 실습중...후끈했던 열기가 이곳까지...(부부회원을 임시모델로 연습샷~~)
|
'사찰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정사의 천년숲길,한국자생식물원. (0) | 2009.07.02 |
---|---|
용인 와우정사에서. (0) | 2009.05.27 |
정암사와 수마노탑 (0) | 2009.05.06 |
정암사와 수마노탑 (0) | 2009.05.06 |
석가탄신일 전야 (0) | 2009.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