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와 공인(2학기 리포트)
과 목 명 : 삼국시대 불교전래와 공인
담당교수 : 이 봉 춘 교수님
학 과 : 불교학과
학 번 : 57042
이 름 : 한 외 숙
제 출 일 : 2012. 12.13
제 천 금 강 불 교 대 학
삼국시대 불교전래와 공인
BC 6세기경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중국을 거쳐 삼국시대에 전해진것은 대략 4세기중반이후부터이다.
고구려와 백제는 4세기 후반에 중국을 통하여 불교를 받아들였고,
신라는 그보다 150년 정도 늦은 6세기 전반에 공식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였다.
삼국시대 불교의 공인은 왕권강화와 민심을 얻기위한 목적이었다.
불교의 전래는 대부분 국가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호국신앙 성격을 띄게 되었다.
1.고구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중국을 거쳐 고구려의 소수림왕2년때에 전해진다.
전진의 왕 부견이 보낸 순도(順道)를 법사로 불경이 고구려에 전해진다.
2년뒤엔 374년에 진나라의 승려인 아도가 와서 성문사와 미불란사를 세우니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찰이다.
2.백제
고구려보다 12년후인 384년 (침류왕원년)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서기 384년, 침류왕 원년에 남중국의 동진에서 서역 출신의 승려 마라난타를 궁안에 머물게하고
526년 (성왕4년)겸익을 맞이하여 불교가 크게 융성했다.
3.신라
신라의 불교전래는 순탄치 않았다.
눌지왕때 고구려의 묵호자가 불교를 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100년후인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14년에 공인하였다.
당시 신라의 시대적배경은 고구려,백제와는 달리 지형적으로 중국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으므로
고구려,백제를 통해야 중국과의 교류가 가능했다.
기존의 신라의 토착신앙과의 대립과정이 있었기에 불교전래이후에 공인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그후 불교는 국가적 종교로 존중되고 호국불교로 국민생활에 영향을 끼쳤고
건축에서도 르네상스시대를 열었다
자료출처:불교의 역사(이봉춘著)
Daum지식사전
위키백과
교수님...
한학기동안 저희 제천금강불교대학에서 가르침울 주심에 엎드려 감사드립니다.
교수님의 강의는 언제나 예전 제가 어릴적에 할머니께 듣던 구수한 옛날이야기가 생각나게 합니다.
수업시간중에 설하신 역사이야기는 학창시절의 국사시간을 떠올리게하기도 하구요.
수업중 중요한 부분은 메모해 두었다가 인터넷검색을 통하여
다시금 그 의미를 깨닫는 시간을 갖기도 했습니다.
학교다닐적에 지금처럼 열심히 수업에 임하였더라면
아마도 S대에 충분히 합격하였을거란 우스개소리도 하곤 하지요.
언젠가 교수님께서 버스에서 내리셔서 금불대까지 오시는 길이 어둡고 인도가 없어서
불편하시다는 말씀을 듣고
마치 제 잘못인양 제천시민의 한사람으로써 송구스러웠습니다.
마침 저의 초등학교 동기가 시청 건설국장으로 재직중이어서 내토路 보행권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얻었습니다.
교수님께서 매주 왕래하시는 내토로 안길 보완공사는
2013년도 건설부주최 '전국 보행환경개선사업공모전'에서
전국15개시도에서 응모한 도시중 1등으로 당첨되어 8억공사 수주권을 따왔다고 하는군요.
내년에 착공할 계획에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내년이후엔 교수님의 제천 금불대 출강에 다소 도움이 될것같아 제일인양 기뻣습니다.
이 소식을 제일먼저 교수님께 알려드리고 싶었는데 그사이 종강을 하고 말았군요.
레포트 말미에 기쁜소식을 전해 올립니다.
제천지역엔 어제부터 내린 폭설로 온세상이 하얗게 덮여있습니다.
이런날은 따스한 방안에서 공부하기 좋은 기운이 처처에 완연합니다.
교수님의 가르침과 인터넷검색을 오가며 과제물을 정리하는 이 시간이
값지고 보람있는 시간임을 깨닫습니다.
다음학년에서도 교수님과 제천금불대와의 소중한 인연이 이어지기를 소망합니다.
교수님 ..
다시 뵈올때까지 내내 강녕하옵소서...
2013.12.13 한외숙 합장 () () ()